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평생교육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평생교육사 관련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수집하여 총 11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체 연구 대상의 연도, 출판형태, 연구 방법의 특성과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분석 방법과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는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출판형태는 학술지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주제어 중 ‘역량’과 ‘전문성’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분석 방법은 기본적 질적 연구였다. 주제어 중 ‘자격 및 양성’, ‘경험과 성장’, ‘역할 및 역량’ 관련 연구들은 활발하게 이루어진 반면, ‘사회적․조직적 환경’ 관련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 연구에서는 관계분석 관련 방법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고, ‘몰입’과 ‘무형식 학습’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직무특성’의 외향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내향 연결중심성은 ‘몰입’, 매개중심성은 ‘경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life-long educator. The total of 112 studies including journal articl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life-long educator from 1999 to 2019.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contents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EXCEL and Net-Miner 4.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ies on life-long educator was mainly condu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and academic journals, with the most high frequency of ‘competency’ and "expertise" subjects. Second, in qualitative studies,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utilized method of analysis. While studies related to ‘qualifi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 and growth’ and ‘role and competency’ were actively conducted, studies related to ‘soci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Third, in quantitative studies,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were high frequency. In network analysis, ‘job characteristic’ was high out-degree centrality, ‘commitment’ was high in-degree centrality, and ‘career’ was high betweenness centr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derives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on life-long edu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