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진로적응모형의 진로적응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학생 진로구성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구성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대학생과 대학원생 집단의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였으며, 내적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고 진로관련 척도들과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총 294명의 연구참여자는 번안된 진로구성척도(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와 진로적응성 척도(Career Adaptability Scale) 및 진로정체성 척도를 온라인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125명의 참여자가 3개월 후 진로구성척도 설문에 같은 방식으로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18문항 4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측정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내적 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 역시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구성척도는 진로적응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 진로정체성의 탐색 및 몰입 차원과는 정적 상관을, 재고 차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일차원의 진로정체성과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결과는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가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 모두에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a translated measure of career adaptation responses, with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examines the relevant factor structur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between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n online survey was completed by 294 participants, including the questions from the translated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in addition to measures of career adaptability and vocational identity. One hundred twenty five among the initial participants were tested again in three months for the examination of test-retest reliability. The results supported the four-factor structure of 18 items suggested by the original measure, as well as measurement invarianc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dequate. The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unidimensional vocational identity, and the dimensions of exploration and commitment of multidimensional vocational identity, but negatively with the dimension of reconsider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has psychometric properties similar to the original form and can be used for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