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한국 사회의 남성 리더, 여성 리더, 좋은 리더에 대한 역할 도식의 구체적인 내용과 변화를 탐색하고, 응답자 성별에 따라 리더에 대한 인식이 다른지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7년과 2017년도 수도권 지역의 남녀 성인 응답자(대학생, 직장인) 73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90개의 리더 특성 중 남성 리더, 여성 리더 그리고 좋은 리더의 행동 특성으로 생각되는 항목들을 각각 선택하도록 하고, 응답에 대한 빈도분석과 순위상관 분석 및 중첩도 분석을 시행한 결과, 남성 리더와 여성 리더의 전형적인 행동 특성은 각각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인 주도성과 공동관계 지향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좋은 리더에 대한 역할 도식은 주도적 특성과 공동관계 지향적 특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남성 리더와 좋은 리더의 역할 도식은 조사 시점과 응답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반면, 여성 리더에 대한 역할 도식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좋은 리더의 역할 도식은 남녀 리더의 도식에 비해서 세분화되어 있고, 시기에 따라 표상의 내용이 다차원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리더와 좋은 리더에 대한 도식이 얼마나 중첩되는지 분석한 결과, 2007년도에는 남성 리더를 여성 리더에 비해서 좋은 리더로 인식했으나, 2017년도에는 남성 리더와 여성 리더가 좋은 리더로 인식되는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응답자의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났는데, 2007년도에는 남성 응답자들이 여성 응답자들보다 남성 리더와 좋은 리더 간 중첩도를 높게 인식한 반면, 2017년도에는 여성 응답자들이 남성 응답자들에 비해서 여성 리더와 좋은 리더 간의 중첩도를 높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향후 연구문제를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ntent and changes in leader role schemas associated with ‘male’ leaders, ‘female’ leaders, and ‘good’ leaders over the past 10 years in Korea. In addition, we analyzed how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affects their perception of male leaders versus female leaders as a good leader. A total of 736 Korean adult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at two different time points, one in 2007, and the other in 2017. The respondents were presented with a total of 90 behavior items driven from the literature and asked to choose the items that represent male leaders, female leaders, and good leaders,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chosen behavior items for male leaders versus female leaders matched closely to the typical sex role of males (i.e., being agentic) versus females (i.e., being communal). By contrast, the chosen behavior items for good leaders reflected both the male-typed roles and the female-typed roles. We also found that the role schemas associated with male leaders as well as good leaders have changed over the 10 year period. Those schemas also differed between male versus female respondents. For female leaders, however, the role schemas were found to be stable over the 10 years. We also found that the good leader schemas are more specified and variable than are the male or the female schemas. Additionally, in the 2007 survey male characteristics overlapped with good leader characteristics to a greater degree than did female characteristics. This difference was no longer observed in the 2017 survey. The observed difference i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male (versus female) characteristics with good leader characteristics was attributable to the perceptions of male respondents. We discus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