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파리국립도서관(BnF)에 소장 되어있는 만주글-한문 『千字文』(이하 <BnF千>이라 칭함)에 보이는 표기 혼란의 성격을 밝히기 위하여 동일시대 만주글 주음 자료들과 근고중국어를 반영한 운서들을 참고하여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尖團音 문제에서 구개음화가 아주 드물게 보이는데, 이는 동일시대 운서와 만주어 주음 자료들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만주어 자체의 구개음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현상이다. 照組·精組의 혼기 문제에서 <便覽>에 확인 되지만, <BnF千> 확대 적용된 사실이 확인되며, 현대중국어에서 평설음으로 읽히는 일부 莊組 글자들은 <BnF千>에서 여전히 권설음으로 주음되었다. 通攝 開·齊의 혼기는 과도교정의 성격을 갖는다. 蟹攝·拙攝 사이에 혼기가 나타나고, 심지어 혼성의 표기 ‘-ei’도 보인다. 見組 蟹攝 齊齒의 혼기는 역대 운서에서 [iai] > [iɛi] > [iɛ]의 음운 변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效攝에 대한 주음은 대체로 <便覽>과 일치하지만, 果攝은 지나치게 俗音化 또는 白讀音으로 주음하는 경향이 보였다.


This paper discussed the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mixed Mandarin pronunciations in the text of Sino-Manchurian Qiānzìwén (千字文, “Thousand Character Classic”;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Edition, hereafter ‘BnF-SM-TCC’), by comparing the text with the rhyme books of Early Mandarin (RBEM). On the features of the initials, first, the palatalization phenomenon is very rare in the Jiāntuán (尖團) Group which is as same as in the RBEM during the same period, and it does not relate to the palatalization in Manchurian itself. Second, on the mixture between the Groups of the initial Zhào (照) and the initial Jīng (精), it is attested in the EMRB, but more mixed in the BnF-SM-TCC. And in the Group of the initial Zhuāng (莊), a few characters were still transcribed as retroflex consonants in Manchurian while they have changed to blade-alveolars in Modern Mandarin. On the features of the finals, first, the mixture between Kāikǒu (開口) and Qíchǐ (齊齒) in the rhyme of Tōng shè (通摄) is attested in Hébìng zìxuépiānyùn biànlǎn (合倂字學篇韻便覽), but it was overcorrected in BnF-SM-TCC. Second, the mixture between the rhyme of Xiè shè (蟹摄) and the rhyme of Zhuó shè (拙摄), and even its hybrid transcription ‘-ei’ are well attested. Third, on the mixture between the rhyme of Xiǎo shè (曉摄) and the rhyme of Guǒ shè (果摄), it does not related to Manchurian phonology itself, but the same phenomenon can be attested in the Zhōngyuán yīnyùn (中原音韻).


本文在於考察法國巴黎國立圖書館藏滿漢注音『千字文』(以下簡稱<BnF千>)中出現的注音混淆的性質。爲此與同時代的韻書『合倂字學篇韻便覽』(以下簡稱<便覽>)及滿漢注音文獻、朝漢注音文獻進行了比對。研究結果整理如下。 尖團音問題上很少出現見組顎音例字,這與同時期的韻書及滿漢注音文獻的情況基本吻合。見組的顎化與滿洲語音韻自身的顎音化無直接關系。照組∙精組混淆問題在<便覽>中已經能夠查到字例,但主要集中在中古荘母相關的字例上,而<BnF千>中則表現爲已擴散到照組整體字例。現代漢語中標成平舌的一些中古莊組相關字,在<BnF千>中仍標爲照組卷舌。 通攝的開·齊混淆現象屬與過渡矯正的性質。蟹攝·拙攝間出現注音混淆,甚至出現混搭性質的‘-ei’注音。見組中蟹攝齊齒與拙攝齊齒的混淆現象是漢語語音史中見組[iai] > [iɛi] > [iɛ]語音變化中的一環。效攝的注音大體與<便覽>一致,而果攝注音表現出過於俗音化或白讀化傾向。


키워드열기/닫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