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로 먼저 인식, 실행, 환경지원의 3개 영역에서 10개 요인을 포함하는 101개 문항을 개발한 후,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256명)와 본조사(380명)를 실시하였으며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창의적인 교실 문화 측정도구 77개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909로 나타나 전체 문항들은 일관성 있게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 및 타당도 분석에서 인식, 실행, 환경지원 영역 모두의 모형 적합도는 CFI, TLI .90이상, RMSEA .08이하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켰으며, 측정도구의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CFI=.955, TLI=.950, RMSEA=.051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이 판명되었다. 또한 최종 척도를 교사의창의적 교수 효능감 척도와 준거 타당도 분석 결과 r=.25∼76(p <.01)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본 척도의 최종 문항과 교사 배경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소재지, 혁신학교 지정여부, 학교 규모, 학급당 학생 수, 교사 성별 및 직위,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에 대한 진단 목적에 따라 측정도구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적인 교실 문화 조성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101 questions including 10 factors in 3 areas of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first developed as a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 and then preliminary surveys(256) and main surveys(380)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it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total reliability of 77 questions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measurement tool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909, indicating that all items were consistently constructed. In the analysis of the fit and validity of the factor structure model, perception, execution, and environmental support were all The model goodness of fit was CFI, TLI .90 or higher, and RMSEA .08 or lower, which met acceptable standard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itness of the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of the measurement tool, CFI=.955, TLI=.950, As RMSEA=.051, the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 structurally appropriate model. In addition, the final scale was found in the range of r=.25∼76(p<.01) as a result of the teacher's creative teaching efficacy scale and reference validity analysi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 question of this scale and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chool, whether or not to designate an innovative school, the size of the school,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gender and position of teachers, and career. In addition, it suggested how to use the measurement tool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iagnosis of the teacher's creative classroom cul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lassroom culture plans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related variables us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