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을 위해 활용하는 ‘활동’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피고, 이를 토대로 현재의 활동중심 교과서의 실태를 진단하여 개선하는 것이다. 교육에서 ‘활동이론’은 인간의 행위와 의식을 불가분의 관계로 전제하고 의식적인 학습과 활동(수행)을 설명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주체적인 감상과 내면화를 강조하는 문학교육에서는 이를 구체화하는 ‘활동’이 중요하다. 학습자는 주어진 환경, 공동체와 ‘상호작용’하면서 활동을 통해 ‘주체’적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의미를 ‘구성’하며 이를 ‘내면화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의 본질이 문학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피기 위해 1차~2015 개정 교과서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활동의 외적, 내적 추이를 살펴보았다. 활동은 지식전수에서 학습자의 사고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과정중심 읽기의 틀인 ‘읽기 전-중-후 활동’으로 외적 체계를 갖추었다. 또한 내용은 작품에 대한 확인에서 내용-목표-적용활동으로 단계화되면서 학습자들의 사고의 폭을 확장시켰다. 그러나 여전히 학습자의 주체성, 상호작용, 내면화의 과정은 부족하며 지식이 강조되어 활동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내면화를 강화하는 ‘활동’ 구성과 주체적인 학습자, ‘읽기 전-중 활동’의 강화, 외면화 활동, 상호작용 강조 등으로 활동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into how the 'activity' used for learner-centered literature classes has been embodied in textbooks and to improve current activity-oriented textbooks based on this. In education, 'activity theory' presuppos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haviors and consciousness is inseparable, and attempts to explain conscious learning and activity (performance). In literary education, 'activity' that materializes this is important in that it emphasizes learners’ subjective appreciation and internalization. The activities are structured as 'pre-middle-post-reading activities'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learner's thinking. In addition, the content has been staged from confirmation of the work to content-goal-applied activities. However, the process for learners’ subjectivity, interaction, and internalization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activities by constructing 'activity' that can strengthen internalization, subjective learners, 'strengthening pre-reading activities', externalizing activities, and emphasizing inter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