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tential to justify anticipatory self-defense and lay out the reasonable bases with the validities on it. Being relevant to the justification of anticipatory war, the frames which we understand it falls into three categories. Firstly, we can appreciate the justification of anticipatory war in terms of national interest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viewpoint the anticipatory war face the problem that it may result in not promoting national interest but harming or lessening it by threatening world peace and making international society unstable. Secondly we can also address it 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law and organization. International law would simply regard self-defense as a counter-war against an illegal war. It remains open to doubt whether international law always allows the anticipatory war to be brought about by a belligerent power, since some states of UNSC may be involved in the war. Thirdly the justification of anticipatory war can be approached in the way that it can be examined through our moral sense. This ethical viewpoint begins from the premise that there may well be the situation which the national security is on the brink of a precipice by threat of the enemy, or which the very existence of a state is at stake. With respect to moral judgment, it is obvious that preemption strike is unquestionably legal self-defense in the face of an unfolding and self-evidently imminent threat. Trying to put the moral principles of just war theory to practical use of justification of anticipatory war aims to seek unbiased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which is not influenced by a complicated global environment and a fluid political situation.


이 연구는 선제적 자위전의 정당화 가능성과 더불어 그 정당성의 합리적 근거들을 탐구하고 인식의 틀을 구성하였다. 선제적 자위전의 정당화와 관련하여 세 가지의 범주로 인식의 틀이 구성될 수 있다. 첫째, 국가이익의 측면에서 선제적 자위전을 정당화시킬 수 있다. 이 관점에서는 선제적 자위전이 국제관계에서 국가이익을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세계평화에 위협이 되고 국제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듦으로써 손상을 주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국제법과 국제조직의 틀에서 선제적 자위전의 정당화 문제를 다룰 수 있다. 국제법에 따르면 자위전은 불법적 전쟁에 대한 반격으로 간주된다.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의 국가가 선제적 자위전에 연루될 수도 있는 까닭에 이해관계가 걸린 교전 당사국이 일으키는 선제적 자위전이 국제법에 의해 정당화될지는 의문이다. 셋째, 선제적 자위전은 도덕원리를 통해 조명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적 인식은 국가안보가 위기에 처해 있거나 국가 존망이 경각에 달려있는 상황이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객관적이고 자명한 위기에 임박하여 선제 타격이 의심의 여지 없이 합법적 자위라는 것은 이 관점에서는 명백하다. 정당한 전쟁에 대한 도덕원리를 선제적 자위전에 응용하려는 시도는 편향되지 않은 객관성과 보편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복잡 다양한 국제환경이나 유동적인 정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