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조사 1차(2006년)에서 12차(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참여해온 베이비붐 세대와 이들 세대의 이전 및 이후세대 가구주를 대상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소득불평등을 경제활동참여 구성 집단별 시계열적으로 요인 분해[GE(0)]한 결과를 이들 세대의 이전 및 이후세대와 비교분석한 후, 그 함의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가구의 구성 집단 내(within) 및 구성 집단 간(between) 엔트로피지수[GE(0)]의 연차별 궤적을 분석한 결과, 첫째, 베이비붐 이전세대의 연차별 궤적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연차별 궤적은 2011년을 저점으로 상승한 후, 2015년을 고점으로 다시 하락하는 기운 N자 형의 추세를 보여주었다. 셋째, 베이비붐 이후세대의 연차별 궤적은 2011년을 고점으로 하락한 후, 2013년을 저점으로 다시 상승하다가 2015년을 고점으로 다시 하락하는 M자 형의 추세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득불평등관련 정책 수립 시 연령 변화에 따른 경제활동참여 구성 집단 내 및 구성 집단 간 이행된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서 제고할 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anti-income inequality for the baby boomer by applying a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baby boomer on results of time sequential factors decomposition of the income inequality per composition group for the baby boomer, and examining them, selected on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KWPS) merged from 1st year(2006) to 12th year(2017) to have been fulfill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nual trajectory of the entropy index [GE(0)] within and between the constituent groups, First, the annual trajectory among before the baby boomer showed a continuing decline. Second, the annual trajectory among the baby boomer showed an N-shaped trend which continued to decrease to the bottom in 2011, then rose to the highest point in 2015, and then re-felled. Third, the annual trajectory among after the baby boom showed an M-shaped trend which rose slowly to the highest point in 2011, then fell to the bottom in 2013, then re-rose to the highest point in 2015, and then felled. These results require the ne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policies that can mitigate or improve income inequality implemented within and between groups of economically active participants according to age changes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income inequalit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oints to consider in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