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미디어(メディア)적 성격을 띤 고바야시 다키지의 벽소설을 평론「벽소설과 『짧은』단편소설」과 함께 살펴보았다. 고바야시 다키지가 전략적인 도구로써 실제적 효과를 목적으로 수용한 벽소설은 문학의 기법으로 형식만을 취하고 일반적인 소설과는 달리 ‘운동’이라는 성격으로 문맥의 의존도가 강한 새로운 표현 형식이다. 그리고 벽소설은 현실의 절박한 문제들을 빨리 인식하여 그 문제 해결에 대중을 추동하는 호소성이 강한 아지프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고바야시 다키지의 벽소설은 모두 약자의 눈을 통해서 쓴 것인 만큼 시선을 낮추고 빈곤의 사회성이나 전쟁의 비인간성을 호소하고 있다. 이런 사회의 현실적 상황을 담은 호소력 있는 메시지를 통해 정치적 현실 속에서 민중들을 결집시켰고, 이런 전략을 통해 프롤레타리아 운동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실제로 당시의 사회주의자들은 대부분 경찰의 검거로 투옥되거나 지하로 스며들어 갔는데, 이런 사회주의 운동의 당위성을 교도소나 지하에서 확인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절박한 문제를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것이야말로 고바야시 다키지가 말한 ‘전위의 눈(前衛の眼)’이 실현되는 조건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examine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hich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long with the critique of “On Wall Stories and ‘Short’ Short Storie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hich Kobayashi adapted as a strategic tool for practical effect, only appear as a form of literary devices while, unlike novels, they are actually a new form of expression that strongly depend on the contex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hat is called “movement.” Also, wall storie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n agitprop, which strongly appeal for the public to quickly recognize the imminent issues of reality and solve them. As much as Takiji Kobayashi’s wall stories were written through the eyes of the weak, they lower their gaze and appeal to the social nature of poverty or inhumanity of war. Such pleading messages, which convey the reality of society, brought people together and such strategies effectively convey the purpos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In fact, the majority of socialists at the time were imprisoned by the police or went into hiding underground. However, the reason the desperate issues of society simply had to be emphasized despite the situation of having no choice but to confirm the legitimacy of socialist movements in prison or underground is in fact, as Takiji Kobayashi put it, because of the condition that ‘The Eyes of Vanguard’ come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