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 차이에 따라 집단을 3유형으로구분하고 이러한 유형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적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따라 객관적계층고집단, 계층일치집단, 주관적계층고집단의 세 유형으로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재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재무적 요인은 다시 소득, 자산, 부채요인으로 나누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항목들을 영향변수로 사용함으로써 객관적계층과 주관적계층의 차이에 영향을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동패널 20 차 자료를 사용하여, 총 6,819가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았으며, 소득과 자동차보유비율이 가장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연령이 높고, 취업가구비율이 낮으며, 자가 비율은 가장 높은 모습을 보였다. 둘째, 객관적계층고집단은 근로소득과 기타소득, 금융자산과 금융기관부채가 높았던 반면, 주관적계층고집단은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부동산보유비율이 세 유형 중 가장 높았다. 셋째, 근로소득, 부동산소득, 이전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금융기관부채가 많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하지 않을수록 객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던 반면, 근로소득, 이전소득, 사회보험소득, 기타소득, 은행예적금, 저축성보험, 금융기관부채가 적을수록, 주거외부동산을 보유한가구일수록 주관적계층고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는 객관적ㆍ주관적계층 차이로 인한 재무적 불균형완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ㆍ주관적계층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재무적요인을 밝힘으로써 재무설계나 정책수립에 있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계의 재무설계와 관련 정책 수립을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of Korean households by dividing the group into three types. To this end, Korean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an objective-higher group, a coincidence group, and a subjective-higher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were divided into sub-items of income, assets, and liabilities. Using 20th of the data from KLIPS, a total of 6,819 households were analyzed, and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d apply a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lowest average age,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the highest ratio of income and car ownership,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average age, the lowest ratio of working households, and the highest rate of home ownership. Second, the o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earned income, income of others, financial assets, and financial institution liabilities, while the subjective-higher group had the highest ratio of transfer income, social insurance income, and real estate holdings among the three types. Third, households with higher incomes and no real estate holding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objective-higher group, while those with lower incomes and with real estate asse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subjective-higher group.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ducing financial imbalances due to differences i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specific financial factors aff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classes have been identified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pecific measures in financial planning or policy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