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 북한의 관광산업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연구질문을 바탕으로 북한 문헌을 분석한다. 관광산업 인식 분석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북한은 다소 적극적·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 관광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소 ‘적극적’이라고 분석한 이유는 관광을 주요 외화 획득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은 관련 연구가 전체 경제 관련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고, 관광기본법이 부재하며 종합적인 관광 개발 마스터 플랜도 보이지 않아 ‘다소’ 적극적이라 판단하였다. 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이라고 분석한 이유는 관광개발구를 국내 지역과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관광 관련 자영업의 공식 허용 및 육성 정책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관광개발구에만 특혜제도와 유리한 관광환경을 보장한다며 관련 개발구를 18곳 지정하고 있어 ‘진전된 수준’의 부분개방이라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의 북한 관광산업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여 향후 남북 관광협력 추진 여건을 살피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s North Korean literature based on research questions on how North Korea’s perception of the tourism industry changed during the Kim Jong-un era.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ourism awareness, North Korea is pursuing a somewhat active and advanced level of partially open tourism policies. The reason for the somewhat “active” analysis is that it recognizes tourism as a major source of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nd emphasizes it. However, it was judged to be ‘somewhat’ active’ as related research has not yet taken up a large portion of the overall economy-related research, the absence of the Framework Act on Tourism, and the comprehensive tourism development master plan. The reason for the analysis as an advanced level of “partial opening” is that the tourism development zone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domestic region, and no official policy of allowing and fostering tourism-related self-employed businesses can be found.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advanced level’ was partially opened as 18 relevant economic development zones were designated, saying that only tourism development zones were guaranteed preferential treatment and favorable tourism environment.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North Korea’s tourism industry during the Kim Jong-un era to look into future conditions for promoting inter-Korean tourism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