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기후기술과 관련된 과학외교 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과학과 외교의 관계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 과학외교 영역에 기후기술 활동을 대비시켜 현황을 파악한 바, 과학을 위한 외교 영역은 공동연구 및 기술사업화 등의 양자협력이, 외교 속 과학영역은 국제기구의 지원프로그램을 통한 협력활동이, 외교를 위한 과학영역에는 ODA 사업 또는 남북 간 협력이 주로 추진되고 있었다. 조직-체계-전략으로 구분하여 파악한 문제점으로는 과학외교 활동을 위한 유관인력의 전문성이 부족하고, 상호연계와 보완을 위한 추진체계가 미흡하며, 단기적 목표와 성과평가 등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이 대두되었다. 부처-연구기관 간 협력형 및 연구기관 자체 추진형으로 본 개선유형에는 사전논의 및 지속 모니터링을 통한 협력의제 발굴체계를 개선하고, 과학외교 채널·체계를 활용한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를 증진하는 것이 각각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science diplomacy played by Kore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FRIs) in the field of climate technologies, and finds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Reviewing the three science diplomacy dimensions identified by the Royal Society and AAAS in 2010, bilateral and multilateral technology transfer cooperation or national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based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categorized as “Diplomacy for Science”, UNFCCC and IPCC-related activities as “Science in Diplomacy,”and the recent case of inter-Korean cooperation on forest protection as “Science for Diplomacy.” Problems and improvement factors were summarized in organization, system and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interview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Major problems included the lack of expertise of the civil servants due to frequent replacements, the lack of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the poor usage of existing diplomatic channels, short-term based implementation, and the inconsistencies between policies and research goals. The AHP methodology suggested improving agenda development processes, activating Joint Committee Meetings and securing expertise through the utilization of GFRI experts as primary ways to improve Korea’s internal processes of science diplomacy.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in develop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methods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science diplomac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