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인 가구는 사회적 관계 고립, 낮은 소득, 불안정한 주거, 건강문제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1인 가구 증가추세를 보면 이러한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연령집단별 우울과 관련된 요인을 체계적으로 비교,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제14차 한국 복지 패널을 활용하여 청년, 중장년, 노인으로 집단을 분류하고 우울경험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우울경험이 청년과 중장년에 비해 노인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년의 경우 소득과 경제활동이 우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의 경우 남성에 비해 여성이, 주관적 건강, 직업만족, 여가생활만족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우울위험이 낮았으며, 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좋고, 소득, 직업만족, 여가생활만족이 높을수록 우울 위험이 낮고, 주거 빈곤문제를 가진 경우 우울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1인 가구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osed to a variety of risks, including social relationship isolation, low income, unstable housing, and health problems,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intens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for each age group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14th Korea Welfare Panel Study was utilized, the group was classified into young, middle, and elderly, and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depression were analyzed by age groups. Depressive symptom was much higher in elderly than that of young and middle aged. For young adults,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middle-aged sex, subjective health, job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depression. In case of elderly, subjective health, income, job and leisure satisfaction, housing pover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motional difficulti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age group. It also discusse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