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청소년기 자녀가 인지한 부모관심, 자아존중감이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SPSS 21.0과 Mplus 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하였다. 첫째,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위축은 증가하고, 자아존중감은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주요변수들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의 초기값만이 사회적 위축의 초기값과 사회적 위축의 변화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녀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에서 부모관심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만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사회적 위축을 줄이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MAPS) to examine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long with the effects of parental concern and self-esteem as perceived by their adolescent children on social withdrawal. Data was analyzed using the analysis methods of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a latent growth model using SPSS 21.0 and Mplus 8.0. First, observations of the development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and self-esteem showed that social withdrawal increased while self-esteem decreased. Second, confirmations of the effects of surrounding variables on social withdrawal showed that only the initial values of self-esteem had direct effects on the initial values of social withdrawal and the rate of change of social withdrawal.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facete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self-esteem and reduce social withdrawal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