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기초하여 부모 자율성 지지 및 구조 제공과 자녀 진로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부모 자율성 지지 및 구조 제공이 자녀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국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 38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첫째, 부모 양육변인과 자녀 진로발달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둘째,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및 매개효과를 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 제공 모두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정체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진로결정자율성은 진로정체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을 매개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의 구조 제공은 자율성 동기를 매개하지 않고 자녀의 진로정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진로정체감 발달의 선행조건으로서 진로결정자율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자녀가 자율적으로 진로를 탐색 및 결정할 수 있도록 부모가 자녀 자율성을 지원하고 구조를 제공하는 활동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arents are a major social agency in nurturing their offsprings’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autonomy and competence. SDT focuses o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as major parental support factors in developing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in the various domains of adaptive functioning.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in the domain of career development. It also aim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 of career-decision autonomy in the relation of adolescent career identity and parental support fac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82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n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bo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career-decision autonomy and career identit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career-decision autonomy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identity, but provision of structure was found to directly influence career identity.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