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는 혁명 또는 혁명에 준하는 여러 사건이 발발하여 다양한 정치 체제가 급속한 리듬으로 명멸했던 시대이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제1공화정, 통령정부, 나폴레옹 제정, 왕정복고, 7월 왕정, 제2공화정, 제2제정, 파리 코뮌, 제3공화정이 숨 가쁘게 이어졌다. 혁명은 젊은이들을 꿈꾸게 하기 마련이다. 19세기 프랑스 소설에 『고리오 영감』의 외젠 드 라스티냐크, 『적과 흑』의 쥘리엥 소렐, 『벨아미』의 조르주 뒤루아 등 사회적 상승을 꿈꾸는 청년 주인공이 유독 많은 것은 그런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 논문은 사회적 상승의 요인으로서 외젠 드 라스티냐크의 ‘혈통’과 쥘리엥 소렐의 ‘지식’을 분석함으로써 왕정복고 시대의 사회적 변화의 내용과 수준을 가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왕정복고 시대는 프랑스 역사상 보수와 진보, 현실과 이상, 옛것과 새것이 가장 치열하게 격돌했던 시대이다. 그러므로 두 소설에서 혈통과 지식이 차지하는 역할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주인공의 출생, 외모, 성격, 교육, 인생관 등과 함께 지배세력으로서의 귀족계급과 부르주아지, 가치 척도로서의 땅과 돈을 두루 살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쥘리엥과 라스티냐크는 각기 종결부에서 소설의 의미를 결정짓는 한마디 말을 남긴다. 전자는 순수성을 되찾기 위해 사형을 선택하면서 “오, 한심한 19세기여!”라고 탄식하고, 후자는 순수성을 잃고 파리를 향해 도전장을 내밀면서 “이제 너와 나의 대결이다!”라고 선언한다. 이 탄식과 선언은 의미론적으로는 사뭇 다르지만, 독자의 귀에는 둘 다 비극적으로 들린다. 왜냐하면 성년의 요람이 청춘의 무덤 위에서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Cet article vise à évaluer le contenu et le niveau du changement social sous la Restauration en analysant précisément les facteurs d'ascension sociale les plus importants de Rastignac (Le Père Goriot) et de Julien (Le Rouge et le noir) : respectivement la lignée et la connaissance. Elles nécessitent d’autant plus d’attention que la Restauration est une époque où l’ancien et le nouveau se heurtent violemment et totalement. Il faudrait donc étudier le conflit entre la terre et l’argent qui représentent respectivement le passé et le futur comme mesure de la valeur, pour mieux comprendre le rôle de la lignée et de la connaissance. À la fin des deux romans, Julien et Rastignac nous laissent un mot inoubliable. Le premier se lamente en choisissant la peine de mort pour retrouver une véritable pureté : «Ô dix-neuvième siècle !» Le dernier lance un défi à Paris en renonçant à son innocence naturelle : «A nous deux, maintenant !» Les deux mots nous semblent contraires sur le plan sémantique. Mais le défi de Rastignac s’entend aussi tristement que la lamentation de Julien, parce que les romans se terminent tous les deux par la mort de la jeunesse. Les deux romans nous font penser que le berceau de l'âge adulte se fait souvent sur le tombeau de la jeunesse et que le bonheur n’est pas facilement compatible avec l’amb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