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호모파베르는 연장을 이용하여 자신의 운명과 환경까지도 변화시킬 수 있는 인간의 개념이다. 호모파베르 운동은 로우테크(low-tech)부터 4 차 산업 혁명을 이끄는 하이테크(high-tech) 기술까지 활용하는 메이커 운동과 DIY (Do It Yourself)와 같은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는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호모파베르 운동의 기원을 한국 전통 문화인 두레에서 탐색하고 인간의 제작본성과 결합하여 한국형 호모파베르 운동을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형 호모파베르 운동의 핵심개념으로 호모파베르 정신, 공동체 책임, 그리고 주관적 웰빙에 대한 탐색적 고찰과 핵심개념 간 구조적 관계검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5월 24일부터 5월 27일까지 서울에서 개최 된 핸드메이드 박람회와 2018년 7월 6일부터 7월 8일까지 부산에서 개최 된 핸드메이드 박람회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호모파베르 정신, 공동체 운동 및 주관적 웰빙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지지하는 부분 매개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11개의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또한, 기업가 정신과 주관적 웰빙, 가치 공유와 주관적 웰빙 사이에 공동체 운동의 매개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인간의 제작본성과 한국의 전통 공동체 문화인 두레 기반 한국형 호모파베르 운동의 재창조를 통한 개인의 주관적 웰빙과 사회적 웰빙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또한 지속가능한 지역사회기반 관광메이커 공동체 운동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Homo faber (Latin for “man the maker”) is the concept of human beings’ ability to transform their fate and their environment through tools. The homo faber movement is reviving the enthusiasm for DIY (do it yourself), the handmade movement, and the maker movement by utilizing low- to high-tech and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omo faber movement in Korea combined with Korean the traditional communal system Du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community responsibility, mediating between the homo faber mindset and subjective wellbe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handmade fairs held in Seoul from May 24 to May 27, 2018 and in Busan from July 6 to July 8, 201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rtial mediation model suppor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omo faber mindset,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Eleven hypotheses proposed for this study were partially accepted. Additionall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responsibility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between sharing valu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top of that, this study presents a potential for the homo faber movement by recalling a Korean traditional communal culture, Dure, focused on Korean handmade craftsmen to expand from their individual wellbeing to community-based wellbeing and social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