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논증적 글쓰기 자동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주석 코퍼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현재 활용 가능한 한국어 논증 주석 코퍼스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쓰기 과제, 자료 수집 방법, 주석 체계의 설계 방식 등의 차원에서 국외 논증 주석 코퍼스 구축 사례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자동 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국어 논증적 글쓰기 주석 코퍼스의 구축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 연구에서 논증적 글쓰기 과제는 특정 학교급을 전제하지 않거나 대학생을 전제로 하여 설계되어있으며, 특정한 제약 조건이 없거나, 제약 조건이 있더라도 논제에 대한 입장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글 자료의 수집 방법으로는 공모에 의한 자료 수집 방식, 기존의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한 수집 방식, 대단위 평가 상황 등의 평가 상황을 통한 자료 수집 방식 등이 있었다. 셋째, 주석 체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일반적인 아규먼트 마이닝(AM)의 파이프라인을 준용하여 설계한 주석 체계, 제약적인 쓰기 과제 조건에 따라 설계된 주석 체계, 평가 상황의 재정의를 통해 설계된 주석 체계 등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한국어 주석 코퍼스 구축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특정한 쓰기 과정이나 능력 국면을 연습하도록 하는 쓰기 과제가 설계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별로 운영되고 있는 글쓰기 센터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국가 주도의 공모 등의 방식으로 데이터가 수집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방식의 주석 체계가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특별히 Walton이 제시한 논증도식과 비판적 질문의 범주에 따른 주석 체계 설계가 시도되어봄직 하다.


An annotation corpus should be established primarily to develop an automated system for evaluating agumentative writing. However, there is no Korean annotated corpus currently availa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build a Korean argumentative writing annotated corpu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argumentative writing evaluation system by critically reviewing examples of constructing an annotated argumentative writing corpus in terms of writing tasks, data collection method, and design method of the annotation sche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many studies, the argumentative writing task was designed with the premise of not prescribing a specific school class or under the premise of college students, and in most cases, there were no specific constraints, or even limited constraints. Second, the methods of collecting texts were data collection methods by public offering, collection methods through existing online platform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through evaluation situations such as large-scale evaluation situations. Third, the annotation system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annotation scheme designed by applying the general argument mining (AM) pipeline, the annotation schem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straints of a limited writing task, and the annotation scheme designed through redefining the evaluation situation. The way to build a Korean annotation corpus derived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sign a writing task to practice a specific writing process or aspect of ability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llect data through a writing center operated by each university, or to collect data in a state-led competition. Third, various types of annotation systems need to be designed, and it is desirable to design annot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argumentation and critical questions suggested by Wal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