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성취동기에 대한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 Eccles & Wigfield, 2002)을 적용하여 피아노를 전공하는 대학생들의 가치지각이 능력관련 기대믿음과 연주연습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두었다. 연구대상은 피아노를 전공하는 224명의 대학생들(남학생=25명, 여학생=199명)이며,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링을 통해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아노전공 대학생들의 능력과 성공의 기대관련 믿음이 내적 가치와 달성 가치 및 유용성 가치 지각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지만, 목표달성에 대한 가치지각만이 동기적 믿음과 연주연습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피아노 연주능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동기적 믿음이 이들로 하여금 목표달성 가치를 지각하게 함으로써 연주연습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undergraduate piano students’motivational beliefs, value perception, and playing practice in piano. More speci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s of value perceptions in linking motivational beliefs to playing practice. A total of 224 university students (25 males, 199 females)completed a self-report survey for the study. Data were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suggested students’motivational beliefs related to music enhance intrinsic value, attainment value, and usefulness value, but only attainment valu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al beliefs and playing practice in piano. These findings imply that once students perceived values to practice, they become more persist and out forth greater effort for playing a piano.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music education, piano education, expectancy-value perception, play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