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사회적 기억의 기록화를 위해서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기록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수집 전략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광역 지역의 기록화를 위한 새로운 수집 방법론으로서 서사 기반 수집 실행지침을 개발하여 실행한 서울기록원 사례를 통해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서사 기반 수집 실행지침 개발을 위해 먼저 광역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수집 주제 영역을 개발하였으며, 다음으로 지역학 연구 성과 및 사회, 경제, 문화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자료 분석을 통하여 수집 실행단위를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9개 주제 영역과 61개 상위 수집실행지침, 184개 하위 수집실행지침의 구조와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논문에서 기록의 의미와 가치에 중점을 둔 기록 콘텐츠로의 활용 가능성과 기록 활동 네트워크의 지원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안하였다.


It is widely agreed that a document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the social context of fragmented records is needed for documentation of social memories. This paper examined a new methodology named Seoul Narrative Archiving Policy(S-NAP) which was developed for the documentation of social memories in metropolitan areas. Also, the paper reviewed the applicability of S-NAP through the collection cases of Seoul Metropolitan Archiv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NAP is as follows. First, acquisition topic domains that cover an entire metropolitan region were developed. Next, implementation units(S-NAP) were designed through extensive data analysis that encompasses social, economic, culture, and art areas and reflects outcomes of regional studies. As a result, a total of nine acquisition topic domains, 61 parents S-NAP, and 184 children S-NAP were derived from the aforementioned methodology and methods. Finally, this paper proposed the applicability of S-NAP as archival contents and as a supportive tool for archival activity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