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 경제는 구조적으로 장기침체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2018년부터 미국 정부 주도로시작된 미-중 무역분쟁 지속, 2019년 말 중국에서 전파된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등으로 심각한침체국면에 진입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2008~2009) 이후 양적 완화, 저금리 기조 등으로선진경제권뿐만 아니라 신흥시장에서도 채무누적 현상이 우려되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거시경제변수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주요 신흥시장의 경제리스크를 평가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경제리스크 평가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로는 국가 및 정부채권 평가기관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및 무디스(Moody’s)의 경제리스크에 관한 중점 평가지표, 국제금융기구인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및 국제결제은행(BIS)의 경제구조적 취약성에 관한 중점 평가지표, 그리고 신흥시장의 채무불이행과 경제위기의 관점에서분석한 개별 연구문헌에서 공통적으로 중요시하고 있는 중점 평가지표를 검토해 보았다. 2016~2019년 기간, 거시경제변수(중점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주요 신흥시장(19개국 대상)의경제리스크(신용평가등급)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소비자물가상승률, 재정수지/GDP, 공적채무이자지급/재정수입, (연평균)환율 등에 관한 거시경제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연하면, 신흥시장에서 경제리스크가 우려되는 수준으로 나타난 국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리스크관리가 요구되며, 경기위기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경제기초여건에 대한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Global economy is still stagnant structurally in the long run, coupled with pandemic of COVID-19 as well as trade tens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addition, excessive debt burden in Emerging Markets and Developing Countries (EMDCs) could negative effect on their economies due to increase leverage resulting from low interest rate and Quantity Easing sinc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paper aims to analyze economic risk based on comparison of major EMDCs classified by magnitud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bout macroeconomic indicators, and suggest its implication. For a priori reference on economic risk, major assessment indicators could be in consideration of research of credit rating agencies such as OECD, S&P and Moody’s as well as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IMF, World Bank and BIS, and individual literature in terms of country and sovereign risk.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f economic risk for 19 EMDCs during 2016-2019, such macroeconomic variables as inflation, budget deficit, public payment burden and exchange rate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to assess country and or sovereign credit ratings. Therefore, risk management would be prudently crucial for deteriorated countries in terms of economic risk factor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monitor economic fundamentals continuously for the prevention against any kinds of economic c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