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중 저작권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플랫폼기업들을 선정하고 David Rogers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맵(Platform Business Model Map)을 적용해 플랫폼상의 모든 유형의 참여자와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치교환, 수익모델분석과 저작권, 활용기술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사례 기업을 분석한 결과, 창작자들에게 새롭고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도록 장려하고 작가의 작품을 수익모델 구현에 활용한다는 공통점과 플랫폼별 저작권자와의 거래를 통해 수익을 분배하는 방식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플랫폼 운영에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빅 데이터, 블록체인, 핀테크 등)을 저작권 보호, 이용자 취향 분석, 거래수수료 인하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저작권기반 플랫폼의 경우 전문창작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자신의 저작물을 가지고 플랫폼에 참여하여 소득을창출하고 있었다. 이는 저작권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 창직과 창업 등 새로운일자리 창출에 기여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는 플랫폼의 개념,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저작권기반 플랫폼 비즈니스모델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lected representative platform compani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copyright among platform business models and applied platform business model map of David Rogers to investigate and analyze value exchange, profit model analysis, copyright and utilization technology that occurs between all types of participants on the plat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 company, we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ality of encouraging creators to create new and creative works and the method of distributing profits through transactions with copyright holders by platform, and actively using technologi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Blockchain, FinTech, etc.) to operate the platform for copyright protection, user taste analysis, and transaction fee redu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pyright-based platforms, ordinary people, not professional creators, participated in the platform with their own works to generate income. Th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a copyright-based platform business model could contribute to creating new jobs, including start-ups and start-ups. Whil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on the concept of the platform and the network effect of the platform,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copyright-based platform business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