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새노래 부르기 활동을 교사가 어떻게 해석하고 변주하며 실행하고 있는지 교사의 성찰인 교육적 사유와 배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세 기관의 만 5세 반과 담임교사이며, 각각 5회씩 총 15회의 참여관찰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동영상, 사진, 교사와의 면담, 연구자 일지이다. 연구 자료는 구조적 코딩, 내성코딩, 과정적 코딩전략으로 연구결과를 범주화하였으며 적합한 에피소드와 면담내용을 바탕으로 해석적 글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나의 틀 속에 갇힌 새노래 배우기, 만남으로 변형되는 새노래 부르기, ‘노래=즐겁다’의 신념 일깨우기, 새노래 부르기에 대한 교사의 성찰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새노래 부르기 활동을 교사가 실행할 때 어떠한 신념을 가지고 어떠한 한계에 부딪히는지 그리고 교사는 어떠한 사유를 통해 회절하고 성찰하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교사는 노래가 가지는 즐거움을 표출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방식에서 벗어나고자 하였고 이는 차이생성의 교육, 감각들의 교육으로 펼쳐졌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새노래 부르기가 실행되는지 그 실제를 사실적으로 담아내어, 교사들의 고민과 성찰을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들려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d how teachers interpret, alter, and perform new song activities, as well as teachers' reflective educational reasons and learning. The subjects of study were three-year teachers at the age of five. Each of the three teachers were tasked with observing 5 students, totalling 15 student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via videos, photos, and discussions with the teachers and researchers. The research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structural coding, robust coding, and process coding strategically, with the analytical results written based on interviews based on the content with the corresponding episode.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by a sing a new song transformed into an encounter, learning a bird song trapped in one framework, awakening, the belief of ‘song equals fun’, and reflection of the teacher of the sing a new song. The focus of this study centered around the beliefs and perceived limits teachers encounter when singing a new song activities and how teachers reflect upon their experiences. The teachers tried go beyond the traditional structured way of teaching so the enjoyment of the song could be expressed, and this was expanded to education of difference generation and training of sen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reality of how singing a new song is performed in a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o use this experience as a basic material which allows the teacher to hear the troubles through ref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