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불교 요지(佛敎要旨)」는 원불교 초기 교서인 『근행법(勤行法)』(1943.12) 제2편에 실려 있으며, 재래 불교의 교리를 총 18항목으로 소개하고 있다. 『근행법』은 주 경전인 『불교 정전』(1943.3)에 대한다면, 교도들의 지침서이고 의례서이며, 외부적으로는 당시 불법연구회의 안내서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불교 요지」는 『불교 정전』(1943.3) 권2와 3에 수록된 불조 요경(佛祖要經)의 내용 대신에 불교 교리를 수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불교 정전』과 『근행법』의 편수를 정산(鼎山) 송규(宋奎, 1900-1962) 종사가 주도적으로 맡아 하였고 이를 소태산(少太山) 대종사가 열반 직전에 직접 감수하였기에 거기에 수록된 「불교 요지」도 예외는 아니다. 비록 『불교 정전』과 『근행법』이 일제 말기에 유사(類似) 종교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방편으로 불교 교리를 의도적으로 편입한 부분이 많이 있다고 하여도, 「불교 요지」는 정산 종사가 직접 서술하였기에, 교단과 정산의 불교관을 연구할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초기 교서 자료이다.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구성에 있어서 의례를 염두에 둔 책자인 관계로 예식 찬게(讚偈)가 상당 부분을 차지한 점을 고려하더라도 불교 대·소승 전반의 교리가 대체로 고르게 실려 있다. 둘째, 내용과 편집에 있어 서 안진호가 편찬한 『석문의범(釋門儀範)』(1935)을 참고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셋째, 해의(解義)에 있어서 정산이 강조한 관법(觀法) 수행이 중심축을 이루고 있고, 스스로가 수행을 통한 체험에 바탕하여 일반 대중의 수행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평이 간명하게 서술하면서,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하였다.


The "Main Principles of Buddhism" is included in the second Part of the Dharmas of Diligent Practice (1943.12), one of the earliest texts of Won-Buddhism, and contains a total of 18 Buddhist doctrines. Compared to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1943.3) as the principal scripture, the Dharmas of Diligent Practice is a guidebook and a protocol for the Won-Buddhists, and externally it has the nature of an introduction to the Won-Buddhist Order,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us, the "Main Principles of Buddhism" can be viewed as a substitute for the contents of the essential sutras of Buddha and enlightened masters, which were contained in the volume 2 and 3 of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Cardinal Master Jeongsan (Song Gyu; 1900-1962) took the main charge of compilation of those two books and Sotaesan,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confirmed them just before entering nirvana, which is not an exception to the "Main Principles." Although those two books intentionally contained Buddhist doctrines as a way to remove the stigma of psuedo-religion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are very valuable early texts for studying the Buddhist views of the Order, and especially Jeongsan’s because of his own describing the "Main Principles." The features of the "Main Principles of Buddhism" are as follows. First, the doctrines of the Mahayana- and Hinayana-Buddhism are equally- and well-documented. Second, the Sŏkmun-ūibŏm (Ritual Book of Buddhism) was much likely to be used as a reference, compiled by Ahn Jin-ho in terms of contents and structure. Third, in terms of explanation, they were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observation, which was emphasized by Jeongsan, and he reinterpreted it so that people could easily understand and practice, making it suitable to the present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