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도진이 설치된 시기는 1427년(세종 9) 경이었다. 원래 전라좌도의 수군을 관장하던 수군진은 여도도만호진이었는데, 사도가 여도보다는 외해에 나와 있기 때문에 왜구를 미리 방어할 수 있다는 등의 이유가 고려되면서 그곳에 수군진이 설치되었다. 이 사도진은 군사적 기능뿐만 아니라 행정적 기능도 가지고 있었다. 사도진에는 군관을 포함한 수군․인리 등이 약 550~600여 명 가량 활동하였다. 사도진에는 선소․성곽을 비롯하여 상당히 많은 관청이 들어서 있었다. 사도진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경비가 필요했다. 특히 상부 관청에 각가지 명목으로 상납하는 운영비는 감당하기 힘들 정도였다. 사도진은 이러한 경비 조달 때문에 군사력 약화를 가져왔던 것이고, 한편 인근 주민들에게 가혹한 수탈을 자행했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도진은 전라좌도의 해양방어를 관장하던 수군진이었다. 그런데 전라좌수영이 설치되면서 그 이전보다는 위상이 추락하였다. 그런데도 예하에 다수의 만호진을 거느리는 거진으로 그 영향력은 대단했다. 그러던 중 중종대 전라좌수영에 사도진과 동등한 첨절제사가 주둔하는 방답진이 설치되면서 사도진은 전라좌수영 내에서 그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도진은 여전히 예하에 다수의 수군진을 거느리는 거진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후 사도진은 을묘왜변을 전후하여 방어체제가 제승방략체제로 전환되면서 위상에 약간의 변화를 겪게 되었다. 조선후기에도 사도진은 전라좌수영 내 거진으로 위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그런데 18~19세기 경을 전후하여 사도진은 군사적 업무 외에 행정적 업무에 치중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러한 업무로 인해 사도진은 본연의 임무를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사도진은 수군진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수군 편제상 전라좌수영 내 거진으로서 위상만을 지녔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사도진은 일선 수군진의 전범으로 조선시대 수군사 내지는 한국해양사를 위한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역민의 문화의식 고양과 자부심 고취, 그리고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찾아가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측면에서 역사적 가치와 의의가 크다 하겠다.


It was in 1427(nin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that the Sado Naval Post was built. The naval post supervising the naval forces of Jeollajwa Province was originally located in Manhojin of Yeododo. Since Sado was farther in the open sea than Yeodo and thus better at defending the nation against Japanese raiders than Yeodo, a naval post was installed in Sado. The Sado Naval Post performed administrative functions as well as military ones. There were approximately 550~600 people at the Sado Naval Post including soldiers of the naval forces and Inris as well as military officers. including Seonsos and strongholds. Various types of expenditures had to be paid to manage Sadojin, which had an especially difficult time with operating expenses that it had to pay to the upper authorities for various causes. It is estimated that Sadojin had its military force weakened due to such considerable expenses and exploited residents in nearby villages brutally. Sadojin was a naval post to supervise the marine defense of Jeollajwa Province. After the installation of Jeollajwa Naval Headquarters, however, its status plummeted. Despite it, it still exerted huge influences as a major naval post to have many Manhojins under its command.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Bangdapjin was installed at the Jeollajwa Naval Headquarters with Cheomjeoljesa stationed at it just like Sadojin, which subsequently had its position narrowed down at the naval headquarters. It still, however, played its roles as a major naval post to have many naval posts under its command. Around the Japanese attacks in the year of Eulmyo, the defense system was converted into the Jeseungbangrak system, which brought some changes to the status of Sadojin.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Sadojin maintained its status as a major naval post at the Jeollajwa Naval Headquarters. In the 18th~19th century, it developed a strong tendency of focusing on administrative works in addition to military ones. It failed to fulfill its original duties right in many cases due to its administrative works. During the period, Sadojin kept its status as a major naval post at the Jeollajwa Naval Headquarters within the organization of the naval forces without performing its roles right as a naval post. The Sado Naval Post not only establish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the history of naval forces in Joseon and the marine history of Korea as an example of front-line naval posts, but also made contributions to the enhancement of cultural consciousness, pride, and community identity among local residents, thus holding huge historical value and signific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