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울산부 호적 대장을 중심으로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 울산 내 해척의 존재 양상과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대상은 1609년부터 1765년 사이에 작성된 15개 식년에 기재된 해척이다. 1609년부터 호적 대장에서 기재가 확인되던 해척은 1765년이 되면 단 1명도 기재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그런 가운데 동해에 인접했던 유포면은 울산 내 최대의 해척 거주지였으며, 다수의 해척촌이 존속했던 곳으로 확인된다. 호적 대장에 기재되었던 해척을 분석해 보면, 1672년에는 천인이 다수를 이루었으나, 점차 양인이 증가하여 50:50의 비율을 이루어나갔다. 이때 천인은 신분적인 역이 존재했기 때문에 해척으로 기재된 것은 겸역을 뜻했고, 이들 가운데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외거노였다. 한편, 해척 직역자의 세대 간 계승과 직역 부담의 연속성은 일부 확인되긴 했으나, 대다수는 실제로 해척에 종사하지 않은 일반인일 가능성이 높았다. 1765년에 확인되는 해척 기재의 소멸은 중앙 정부의 정책 영향이 컸다. 대동법이 확대되고, 1751년에 균역법이 시행되면서 점차 해척을 기재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keep track of the existence and changes of Haechuk in Ulsan betwee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analysis target is Haechuk in the 15 years written between 1609 and 1765. Haechuk, which had been listed since 1609, is not listed in 1765. The largest Haechuk residence in Ulsan was Yupo. And there were many Haechuk villages in Yupo. The majority of the people were the lowest class of people. But the number has become similar,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In the case of the lowest class of people, there was a role of identity. However, what was recorded as Hae-chuk meant a double role. Among them, most of them were Oegeono. After that, they even served in the military. Haechuk was partially inherited between generations and they married each other. Meanwhile, the disappearance of the Haechuk in 1765 was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With the expansion of the Daedongbeob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Gyunyeogbeob, there was no reason to record the Haech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