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국의 전통시장 발전과정에 대한 문헌고찰과 미국 동부와 서부지역의 대표적인 전통시장에 대한 소매믹스전략 사례분석을 병행하여 한국 전통시장의 마케팅전략에 참고할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문헌고찰 및 사례분석결과 미국 전통시장은 법・제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하고, 유통구조와 환경 변화 그리고 소비자 욕구의 변화를 반영하여 로컬 푸드와 로컬 공예품을 중심으로 소매믹스요인들을 차별화하여 발전하고 있다. 현재 발전하고 있는 미국의 전통시장들도 기술환경의 변화, 법・제도의 변화, 인구의 증감과 지역적 이동, 소비자 트렌드 변화 등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거의 고사 지경에 이를 정도까지 쇠퇴하였다가 재도약한 것이다. 미국의 전통시장의 발전과정과 대표적인 시장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가 참고해야할 시사점은 “가장 그 나라 또는 그 지역다운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일 수 있다”라는 사실, 즉 차별화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이다. 환경변화에 따른 정부의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 시장과 상인들의 소매믹스에 대한 차별화 노력, 그리고 소비자들의 전통시장에 대한 인식전환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trategic implications by reviewing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raditional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and analyzing the case of retail mix strategy for representative traditional markets.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U.S. traditional market is developing by differentiating retail mix factors, focusing on local food and local crafts, reflecting changes in distribution structure, environment, and consumer needs, focusing on law, system and local characteristics. U.S. traditional markets, which are now growing rapidly, have also developed again after undergoing a period of decline following a variety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changes in laws and systems, increases in population and regional movements, and changes in consumer trend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raditional markets in the U.S. and the implications of analyzing representative market cases are that w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It suggests that the government's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effort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market and the retail mix of merchants, and consumers'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com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