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취압력,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의 성취압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이중 매개효과 검 증은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고,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중매개 모형 검증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간접효과는 유의했다. 셋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의 두려움과 진로정체감은 이중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로부터 성취압력을 크게 경험 할수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지고, 평가에의 두려움은 진로정체감을 낮춰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dentity between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job-seeking str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26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Doubl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of Hayes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rect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 Second, career identity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Thir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ressure on achievement and job-seeking stress had double-mediated effec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