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의 다양한 목간을 통해, 이곳이 유교·불교·도교의 사상이 불교의 범주 내에서 융화된 의례가 행해졌던 복합적인 불교 사원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능산리사지 발굴을 통해 강당지 일대가 목탑과 금당보다 먼저 건립된 유교식 제례 건축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후 이곳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되면서 불교와 함께 다양한 성격을 복합적으로 가지게 되었음을 살폈다. 필자는 이곳을 백제 사비기의 특징적인 제사인 五帝를 모시는 유교식 祭場이었다가, 위덕왕 시기인 567년에 妹兄公主가 목탑에 사리를 매납하면서 불교 사원으로 개편되었고, 이에 따라 불교와 유교의 성격이 융화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같은 위덕왕 시기인 577년에 왕이 직접 죽은 왕자를 위해 목탑을 건립한 왕흥사 지역도 능산리사지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 서로 성격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략 5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었다. 먼저 ‘天’銘 刻墨書木簡은 원래 오제 제사의 제장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하면서 장승의 시원이 되는 성격을 지녔음을 살폈다. 이어 ‘三貴’, ‘六卩五方’, ‘再拜’ 목간을 통해서는 바로 옆의 능산리 고분군과 관련된 불교식 상장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살폈다. 또한, 창고와 물품 관련 목간을 통한 신성한 불교 의례의 가능성과, 관등을 지닌 인물 목간 및 支藥兒食米記 목간을 통해 불교 의학과 관련된 불교식 주술 의례의 모습도 살폈다. 마지막으로 불교와 관련된 목간에 나타난 날짜를 통해 석가탄신일의 行像 의례와 열반일 중시 및 行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Through the various wooden tablet of Baekje, which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This Temple Site examined that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were a complex Buddhist temple where rituals were held within the Buddhist category. In Chapter 2, the excavation of Neungsan-ri Temple Site revealed that the area of the lecture hall was built earlier than the wooden pagoda and the main building, and later, the temple was transformed into a Buddhist temple, which led to a combination of diverse characteristics with Buddhism. In this research, we could found that this place was a Confucian site dedicated to the characteristic ancestral rites of the Baekje Sabi period, but was reorganized into a Buddhist temple in 567 during the reign of King Witŏk(威德王) when the first princess(妹兄公主) buried Sari in a wooden pagoda, thereby harmo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particular, Wangheungsa Temple, which built a wooden pagoda for the prince died in 577 during the same period of King Witŏk(威德王)’s reign, had a similar structure to Neungsan-ri Temple Site, so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ther. In Chapter 3, through the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the wooden tablet which written in “天” shows that the temple was originally for the ancestral rites of Ohje(五帝), and it turned into a Buddhist temple, and it becoming the temple of Jangseung. And we coul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 Buddhist funeral related to the Neungsan-ri Ancient Tombs right next to them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三貴”, “六卩五方” and “再拜.”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acred Buddhist rites through the wooden tablets about warehouses and stuffs, and Buddhist shamanistic rites related to Buddhist medicine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figures with official rank and the wooden tablet of “支藥兒食米記”. Lastly, we examined the rites of Buddha’s Birthday, the importance of Nirvana, and incense-burning ritual Based on the Buddhist-related wooden tab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