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표적인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해방 전후 작품들을 관통하는 이 ‘조선적인 것’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과연 실제로 작품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며 작품들 사이에서 어떤 관련을 보이며 어떤 변화를 드러내고 있는가. 해방전까지 ‘조선적인 것’의 의미가 이국적 읽을거리를 소개하며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성공의 도구였다면, 해방 후에는 실제로 같은 의미를 이어가는지 아니면 상황이 변한 것처럼 다른 의미를 내포하는지 분명 추적할만한 가치가 있다. 「아, 조선」에서 조선 출신 일본인 작가가 된 장혁주가 포착한 한국의 상황과 그가 일본인들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 그리고 그 속에서‘조선적인 것’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은 식민지 조선에서 욕망에 가장 충실했던대표적인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의 흥망성쇠 과정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교훈이 있기 때문이다. 식민지 조선인 이중어작가가 제국 일본으로부터 소비되는 방식이 과연 ‘식민지’와 ‘제국’이라는 수직적이고 폭력적인 관계가 사라진 순간부터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적하는 작업은 개인과 사회, 나아가 나라 사이에서인간의 욕망이 어떤 식으로 추동되고 이용당하며, 버려지는지 분명하게 알 수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What is the meaning of the “Korean thing” that penetrates the works of the representative colonial Korean writer Hyeok-ju Jang—the bilingual writer—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How does the “Korean thing” appear in the writer’s works? What kind of changes, and relationship among the works does it reveal? If “Korean” before the liberation was a tool of success that met the desire of the dual-language writer of the colonial Korean by introducing exotic readings, it is worth tracking whether it continues to carry the same meaning after the liberation or implies other meanings as the situation has changed. The situation of Korea is captured by Jang Hyuk-ju who became a Japanese writer from Joseon in Ah, Joseon. The story he wanted to tell Japanese people and the role of “Korean things” in the stories are confirmed, because there is a lesson that we can learn from the rise and fall of the representative colonial Korean writer who was most faithful to desire, in colonial Joseon. Tracking how the writer’s work is consumed, as Imperial Japan changes, as the moment the vertical and violent 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and imperial era disappears, will clearly illustrate how human desires are driven, exploited, and abandoned among individuals, society, and even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