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아시아 유학생들에 관해 한국 사회와 학교 관련 장 안에서의 경험, 가치관과 사고체계, 행동 양식 등을 Bourdieu의 이론에서의 아비투스 개념에 기반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자료는 총 5명의 연구참여자와 5~6회기에 걸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했으며, 이에 대해 질적 사례분석을 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 도출한 범주에 토대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은 “사회복지 유학으로 세상 넓히겠다는 각오”를 하며 한국을 선택했고, “유학생이라 사회복지 공부하기 더 힘겨움”이라고 여겼다. 또한, “기꺼이 외국인 발달을 돕는 한국학교”와 상호작용하는 동시에 “부럽고도 든든한 한국의 사회제도 아래” 학업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중간에 낀 유학생의 지위”를 인식하기도 했으나, “유학하며 점점 단단해진 마음”을 가지고 현재의 장에 적응하며 아비투스를 이어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고에서 새롭게 발견한 점에 바탕을 두어 해당 집단의 발달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몇 가지 논의사항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values, system of thought, and patterns of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Asia, who major in social welfare at a domestic graduate school in Korean society and the field related to school based on the concept of habitus in Bourdieu’s theory. Data were collected via five to six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of five research participants, and a qualitative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categories derived from the cross-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chose South Korea, “aspiring to broaden their view of the world by studying social welfare abroad” and thought, “studying social welfare is more difficult as an international student.” Also, they interacted with “the Korean school that helped foreigner’s development willingly” and continued studying “under the enviable and reliable Korean social system” at the same time. They perceived “the statu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in between,” but they maintained habitus adapting themselves to the present field with “minds gradually hardened while studying abroad.” Consequently, on the ground of the facts newly found in the study, several discussion points a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udied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