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조건부 수급자였던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 경로와 빈곤경험 맥락에 대한 집합적 사례연구를 통해, 이들의 탈수급 이후의 삶(Life after welfare)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지난 12년간(2006~2018) 세 차례의 웨이브에 걸쳐 실시한 종단적 질적 면접을 분석하여, 탈수급 이후의 경로의 경계가 뚜렷한 다섯 사례를 선정하였다. 사례내 분석 결과 이들은 탈수급 이후 빈곤을 재경험하는 ‘반복적 수급’, 경계선에서 탈수급을 유지하는 ‘취약한 탈수급’, 지속적인 소득유지와 자녀취업을 통한 ‘지속형 탈수급’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사례간의 통합 분석 결과, 자활사업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양가감정’으로 나타났고, 빈곤 경험에 대한 통찰적 인식은 ‘어긋난 톱니바퀴’와 ‘빈곤의 대물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탈수급 이후의 삶의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인식은 ‘열등처우의 삶’으로 드러났으며, 탈빈곤 조건으로 ‘전문성 있는 지원’과 ‘일이 가능한 상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활참여자들의 탈수급을 성공으로 보아왔던 외부자적 평가와 달리, 탈수급 이후에도 여전히 열등처우의 삶을 살고 있는 내부자 시각을 보여주어, 향후 탈빈곤 정책의 지향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life after welfare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who had been conditional welfare recipien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five case studies based on twelve-year-long(2006-2018), three-wave longitudinal qualitative interviews. The outcome from within case analysis suggests three types of lives after welfare : repetitive recipient, vulnerable welfare exit, and sustainable welfare exit. On the other hand, the outcome from between case analysis shows four aspects of experiences: ambivalence, unfit for life and fixation of poverty, less eligibility and conditions for welfare exit. Such research outcomes based on the insider’s perspective can promote the reflection in current social programs which are emphasizing welfare exit but shy of sustaining better living conditions for the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