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표는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글쓰기 자료에 나타난 주술 호응 관계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쓰기 교육에서의 몇 가지 교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오류 유형은 크게 서술어 관련 오류와 주어 관련 오류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에 비해 후자가 많은 오류율을 보였다. 먼저, 서술어 관련 오류 유형으로는‘서술어 누락’과 ‘서술어 오류’, ‘조사 누락’이 있었다. ‘서술어가 누락’된 경우는모국어의 간섭에 의한 경우가 있었으며, ‘서술어 오류’에는 명사를 용언으로 바꾸는 방식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그리고 ‘조사 누락’에는 서술격 조사 ‘이다’ 를 쓰지 않은 경우들이 있었다. 그리고 주어와 관련된 오류 유형으로는 ‘조사 누락’, ‘조사 오류’, ‘주어 누락’ 등이 나타났다. ‘조사 누락’과 ‘조사 오류’는 학습자들이 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다만 ‘조사 누락’과 같이회피 전략을 사용한 경우는 이중 주어과 같이 생소한 문장 구조를 피하려는 의도가 있었으며, ‘조사 오류’는 서술어의 문법적 특징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데 기인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주어 누락’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는데, 이는 구어의 주어 생략 경향이 쓰기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한국어 기본 문형별로는, 먼저 1, 2, 4형이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는데 이중 2 형이 오류율이 가장 낮았고, 4형이 오류율이 높았다. 2형은 서술어가 형용사인문형으로, 형용사는 하나의 명사구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 4형은 두 자릿수 서술어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주어를 생략하거나 하여 혼란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문장 복원 연습’, 각각의 용언에 문형 정보를 담고 있는 ‘별칭’을 붙이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s the error patterns in subject-verb agreement seen in the writing materials of Chinese intermediate learners, and suggest some writing education methods. The types of error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verbrelated errors and subject-related errors, with the latter showing higher error rates than the former. First, the types of verb-related errors were “verb omission,” “verb error,” and “case omission.” “Verb omission” was caused by native language interference; “verb error” often occurred while changing nouns into verbs; and the cause of “case omission” was the failure to use the case marker “ida.” In addition, the types of errors associated with subjects were “case omission,” “case error,” etc. “Case omission” and “case error” were considered to be the same. However, “case omission” was used to avoid unfamiliar sentence structures in Korean, while “case error” arose from a poor understanding of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Subject omiss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hich was reflected in writing by the tendency to omit the subject of the spoken language. Korean Basic Sentence Patterns, type 1, 2 and 4 were us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with type 2 showing the lowest error rate and type 4, the highest. Type 2 is the adjective type. Adjectives are easy for learners to understand because they require only one noun phrase. On the other hand, type 4 requires two nouns, which causes difficulties for learners. To solve this problem, learners tend to use a way that omits the subject. Based on these discussions, chapter 4 proposed two tasks. The first is “restoring sentence practice,” and the second is to give each verb a “nickname” that can predict the sentence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