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가 개발된 이후 수정·보완 절차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교과서 모니터링단으로 활동한 연구자들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주요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초등 사회과 교과서 모니터링단의 수정·보완 요청사항은 총 318건이 제시되었으며, 이 중 약 50%에 해당하는 165건이 수용되었다. 둘째, 활동의 타당성, 서술의 정확성, 자료의 적절성, 지도서의 적합성의 범주에서 제안된 수정·보완 내역 중‘자료의 적절성’관련 사항이 가장 많이 제기되었다. 셋째, 발행사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면 표기·표현과 관련된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 반면, 현장적합성 측면에서 바라본 난이도·활동의 타당성 및 편의성 측면에서는 수용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교사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교과용 도서의 질 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derive implications by interpreting major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s who served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ocial Textbook Monitoring Group and of the cases relative to how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procedures occurred since the textbook was developed.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 total of 318 requests for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onitoring support group were presented, of which 165 cases, or approximately 50%, were accepted. Second, among the categories of validity of activities, accuracy of descriptions, appropriateness of data, and appropriateness of teacher’s guide, most of the questions referred to the ‘appropriateness of data’. Third, in regard of the acceptance patterns of the publishers, it was perceived positively on objectively verifiable content related to notation and expression while areas related to practical fitness (difficulty level, validity of activity, ease of use) showed low acceptance frequency. Based on these findings,several crucial implications that would reflec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n the field shall b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