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업이미지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항공사의 이직률을 낮추고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근무기간이 2년 이하인 계약직 인턴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4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업이미지의 요인 중에서 ‘기본적복리후생’, ‘직업전문성’, ‘선택적 복리후생’, ‘직업존중감’ 요인은 직무만족에 모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직무만족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둘째, 직업이미지 요인 중에서 ‘선택적 복리후생’ 요인은 이직의도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직업이미지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의 직업이미지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직업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기업에서는 이미지 개선을 통하여 이직률을 낮추어 기업 수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occupational image of flight attendant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n provide strategies for reducing turnover ratio and managing manpower effectivel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internship flight attendants whose working period was less than two years, and 274 samples were used as the actual data for analysis. First of all, based on the variables of occupational image, the factors of basic benefits, professionalism, selective benefits, and job esteem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Second, the factor of selective benefits from the variables of occupational im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However,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role for the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of occupational image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can provide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flight attendants’ job image to those who prepare airline cabin crew to help with job selection. Also, compani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corporate profits by decreasing the turnover rate through image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