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성경의 이야기를 해석하는 데 있어 설화비평적 방법론에서 설화성의 변형과 흐름에 중요한 변곡점으로 작용하는 ‘관점’의 문제에 대해 다루어 본다. 특별히 ‘관점’의 문제를 텍스트에 등장하는 ‘설화자’의 전망의 차원에서 다루고 있는 Gérard Genette, 설화자나 등장인물의 대상에 대한 인지적 태도에 따라 ‘관점’을 정리하는 Alain Rabatel, 그리고 관점이 놓여지는 시‧공간적 형태와 관념적 상황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구별하는 Boris Uspensky의 이론을 소개한다. 이어서 이야기 내 설화자와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설화 흐름의 변형에 집중하는 설화 비평적 ‘관점’의 이론과 결을 달리하는 기호학적 ‘관점’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본고가 소개하는 이야기의 ‘관점’에 대한 전망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기호학은 설화 비평에서 말하는 관점을 독자의 ‘의미작용(significaiton)’과 그 구조화의 작업으로 이해하는바, 객관적 이야기가 아닌 이야기를 수용하는 독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관점’의 문제를 다루어 본다. 독자가 하나의 이야기를 읽을 때 이야기는 ‘발화체’로서 독자에게 말을 건네는 것으로 기호학은 이해한다. 발화의 순간에 독자는 텍스트의 단어가 아니라 자신의 인식 체계 내에서 또 다른 코드로 단어를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의미구조를 창조한다. 기호학은 이 창조의 작업을 ‘의미잡기’로 이해한다. 기호학의 관점은 이 ‘의미잡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그 구조는 기존의 독자가 아닌 새로운 독자의 ‘되어감’, 곧 ‘새로운 신학의 주체’로 거듭나는 바탕이 된다. 하여, 독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이야기의 ‘관점’에 대한 논증을 통해 본고의 마지막 결론은, 오늘을 살아가는 독자의 ‘읽기 행위’ 안에 성경 이야기가 제시하는 의미론적 전망을 새롭게 구성하고 그 구성이 곧 ‘신학하는 주체’로서 독자가 거듭나는, 이른바 ‘말씀의 육화’의 자리가 곧 독자의 자리가 될 수 있음을 짚어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consists of the question of the point of view participating in the derivation and the unfolding of the unity and coherence of the narrativity. For the first part, we present the theories of the point of view in the field of narratology: the theory of Gérard Genette by whom the question of the point of view is concentrated on the narrator’s perspective; the theory of Alain Rabatel for whom the question of the point of view is to seek the congenitive attitude of a subject in relation to the object; Boris Uspensky’s theory which focuses on the narrator’s ideology of a story that is represented in the articul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structuring. After having presented the theories of the narratological point of view, this article evokes the question of the semiotic point of view which is located in the position of the reader. The Semiotics considers the point of view as a structuring of ‘sens’ which is done by the act of reading. When a reader reads a narrative, the narrative becomes an enunciator who speaks to the reader and the reader constructs a structure of a form of sens. The Semiotics calls this structuring as ‘the grasp of the sens’ by which the reader becomes the theological subject. On the theological subject, the Word is embodied in the place of the rea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