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경국대전』의 체재와 조문 분석을 통해 『경국대전』의 典書로서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영조대 편찬된 『문헌비고』에서 『경국대전』 조문에 대한 기준을 파악하였다. 본문에 있는 ‘○’ 표시로 조문을 구분하였으며, 표의 형태로 정리한 橫看圖나 『경국대전』의 외연을 넓혀주는 ‘확장’은 조문에 해당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경국대전』을 일반 조문, 확장, 횡간도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典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법전 형식인 율령과는 다른 형태였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典書로서의 『경국대전』의 특징은 典의 연원을 통해 典의 개념을 추출하고 그를 『경국대전』 분석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더 명확해졌다. 『경국대전』 내에서 다른 책을 참조하라고 알려주는 戶典, 禮典, 刑典에 ‘用○○○’ 형태로 수록된 ‘확장’은 예·악·형·정을 포함한 典의 특징을 잘 드러내 주는 부분이다. 또한 표 형식으로 내용을 정리한 횡간도 역시 기존의 율령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으며, 쉽게 수정할 수 없는 횡간도의 구조적 속성은 만세의 법을 지향한 『경국대전』의 특징과도 맞닿아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 『경국대전』에 법전과 예·악·형·정의 의미를 모두 담기 위해서는 『경국대전』을 법전이라고 하기보다는 典書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조선은 예치의 기본 이념인 예·악·형·정이 포함된 典書를 편찬하고 治國의 도구로 삼음으로써 예치국가를 표방한 것이다.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of 『Gyeonggukdaejeon』 were considered through the form of 『Gyeonggukdaejeon』 published in Joseon Dynasty and the analysis of provisions. According to 『Munheonbigo』, provisions were classified with the sign, ‘○’ in the text. Contents related to the 'expansion' for the denotation of 『Gyeonggukdaejeon』 and Hoinggando which organized the contents in tables were not relevant to the provisions. This was different from how Yul—ryeong in East Asia were published in a separate code, while well re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jeon include Rites・music・punishment・administration. Therefore, it is valid to call 『Gyeonggukdaejeon』 as Jeonseo instead of the code to contain all the meanings of Rites・music・punishment・administration. Joseon Dynasty published the Jeonseo including the basic ideologies of the Rule of Ye, Rites・music・punishment・administration, to pursue the Rule of Ye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