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하재일기』에 나타난 사채 거래 182건과 채권자 89명을 분석하여 1891~1910년간 지규식과 자기제조업체의 사채 거래 실상과 채권자의 성분을 분석했다. 근대적 은행과 전통적 사채시장이 이원적으로 운영되던 시기, 제조업체와 소자본가·서민의 자금 융통 방식과 그 실상을 이해할 수 있다. 사채 거래는 분원자기공소(分院磁器貢所) 시기(1891~1895)에 82건(45%)이 집중되어 있었고 수천·수만 냥의 고액 대출이 많았다. 업주(業主) 시기(1900~1906)에는 78건(43%)이 집중되었으며 수백·수천 냥 대출이 많았다. 사채 이자는 월 2~5%와 선이자·장변·갑리 등이 있었으며, 이자 범주는 이전과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고리인 월 5%와 장변이 2/3 정도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특히 갑오 이후 화폐개혁과 금리상승·물가등귀, 전쟁과 의병 등 혼란이 가중되면서 사채 이자율이 높아졌다. 악성 고리채는 자기제조업의 운영을 악화시키고 그 수익마저 삼켜버렸으며, 결국 자기제조업과 관련자들을 파산의 길로 내몰았다. 지규식은 은행 대출을 받지 않고 사채만 이용했다. 그에게는 확실한 보증인과 담보 등을 요구하는 은행 대출의 높이 너무 높았고, 은행이 인정할만한 대자본가와 같은 신용도 인정받기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당시 금융시장은 근대적 은행과 전통적 사채시장이 모두 열려 있었지만, 정작 자금을 필요로 하는 제조업체와 개인 사업자에게는 결코 유리하지 않았다. 오히려 사채 시장의 이자율만 높아져 자금융통 여건이 더욱 어려워졌다. 사채를 빌려준 채권자는 판서·승지·지방관·참봉·주사 등의 양반·관료와 상인·평민·여성·계조직 등 다양한 신분·계층의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거주지는 서울 1/3, 경기도 2/3 정도였다. 대출액이 클수록 양반․관료와 서울 거주자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대출액이 작을수록 평민과 경기도 거주자의 비중이 커졌다. 거액인 1만 냥 이상을 빌려준 자본가는 대부분 양반․관료들이었다. 서울과 경기도는 공간적 접근성과 인적·물적 교류를 기반으로 사채 거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사채의 대출과 이자 관행을 공유한 사금융 통용권이었다.


This paper was analyzed 182 private loans and 89 creditors recorded in the 『hajai diary(荷齋日記)』 written by Ji Kyu Sik(池圭植). I investigated the reality of private loans and the status of creditors. Ji Kyu Sik was engaged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s in Gyeonggido Bunwon, often borrowed money on business. The private loans were concentrated in 82 cases(45%) between 1891∼1895, and in 78 cases(43%) between 1900∼1906. The interest rate of private loans was 2∼5% per month, Jangbyun(場邊) which was 1∼2% every five days, Gapri(甲利) which was 100% per year, etc. The amount of loans ranged from dozens of nyang(兩) to tens of thousands nyang. In particular, the high interest rate which was 5% per month and Jangbyun occupied two-thirds of the total. The interest rate of private loans had risen after 1894 because of national and social risk. The high interest rate had worsened Ji Kyu Sik's ceramic manufacturing. But Ji Kyu Sik didn't borrow loans from bank. Because he had few guarantors and collateral. The creditors were composed of Yangban(兩班), officials, merchants, commoners, women, etc. Most creditors who lent more than 10,000 nyang were Yangban and officials. Their residence was one third in Seoul and two thirds in Gyeonggido. The larger the amount of loans wa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Yangban and officials lived in Seoul. Seoul and Gyeonggido shared the practices of private loans. At that time, the business of modern finance was spread. But private loans were dependent on traditional way. The conditions for using private loans have worsened after opening ports. It was due to foreign trade, currency reform, rising interest rates, inflation,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