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공동체 의식이 정부 신뢰수준에 따라 사회적 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정체성 이론은 개인의 집단 동일시가 내집단편향을 일으켜 외집단에 배타적 태도를 보이게 한다고 설명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18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서열로짓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공동체 의식은 빈곤계층의 포용성에 양(+)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의 지역사회 거주기간은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사회에의 적극적 참여는 양(+)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장애인・결손가정・외국인・탈북자의 이질적 집단에는 국가공동체 의식은 음(-)의 영향을, 지역공동체 소속감은 양(+)의 영향을 끼쳤다. 정부 신뢰수준은 공동체 의식과 결합하여 빈곤계층의 포용성에는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나, 이질적 집단에 대해서는 지방정부의 신뢰수준만이 지역사회 거주기간과 결합해 양(+)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배제집단에 대한 사회적 포용성이 다양한 특성을 지닌 집단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Applying social identity theory, this study concerns the effect of national identity and local community cohesion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the disabled, the foreign, broken familie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trust. Using pooled data sets for 2016–2018 from the “Social Integration Survey,”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national ident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but a negative impact on social inclusion for the other groups; (2) local community has both-side effects on social inclusion; and (3) government trust ha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social inclusion for the poor, but for the other groups, only local government trust engenders a positive attitude in the members of society. This evidence shows that in order to enhance social inclusion for various groups in a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ultidimensional sense of identity or community cohesion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as a coordin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