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에 따라 도입된 표준감사시간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시장의 경쟁강도와 비감사보수가 표준감사시간제도의 감사품질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과거에 제공되었던 한국공인회계사회의 표준감사투입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한공회 표준감사투입시간에 미달하는 피감사기업은 이후 기간 동안 실제감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보수가 낮은 집단의 경우, 감사시장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하여 한공회 표준감사투입시간의 감사품질 개선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분한 감사보수가 주어지는 경우, 경쟁강도가 높은 감사시장에서 오히려 표준감사시간제도로 인하여 감사품질이 개선될 가능성도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감사보수에 따른 표준감사시간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한 결과, 감사인에게 지급된 비감사보수가 높은 기업의 경우 표준감사시간 이상의 실제감사시간이 투입되더라도 감사품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사시장의 과당경쟁이나 과도한 비감사보수의 지급 등 감사인의 독립성이 유지되기 어려운 감사환경에서는 표준감사시간제도의 효과성이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표준감사시간제도의 실효성을 사전적으로 평가해 보았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또한, 표준감사시간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감사인이 독립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현재의 감사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며, 외부감사를 단지 비용으로만 바라보는 피감사기업의 인식을 개선함으로써 감사시장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편, 표준감사시간제도의 실효성을 위해 비감사보수에 대한 관리도 적절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which has become the issue due to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Specifically, this study uses standard audit time data provid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ertified Public Accountants(KICPA) in the period from 2011 to 2014 and verifies the impact of providing KICPA’s standard audit time on the actual audit hou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udit quality improvement effects of standard audit hours policy by competiveness of audit market and amount of non-audit fee. This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using 5,112 firm-year sample that are collected for non-financial firms listed on KOSPI and KOSDAQ market over the period from 2011 to 2014.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vision of the KICPA’s standard audit time is effective in increasing actual audit hours of subsequent years. Second,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audit market has reduced audit quality improvement effects of the KICPA’s standard audit time for the samples with low amount of audit fee. Whereas, this study finds that if sufficient amount of audit fee is given, audit quality improvement effects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increase in even competitive audit market. Third, if client firms pay excessive non-audit fee to their auditor, audit quality do not improve even if the actual audit hours exceeds the KICPA’s standard audit time.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and contribute to the stable settlement of poli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decreases under audit environments where auditor independence is impaired, audit market is competitive or auditor receives excessive non-audit fee. Therefore, a stable settlement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should involve efforts to improve the current audit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