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남북 접경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의 고리로서 ‘민간인통제선’을 주목한다. 민북 마을이라 불리는 지역과 그중 하나인 전략촌은 민통선 설정으로 인해 생긴 마을이고, 민통선은 수복지구의 형성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비무장지대의 남방한계선에서 수 킬로미터 남쪽에 설정된 민통선은 또 하나의 분단경계선이고, 접경지역 안팎을 구분하는 실질적인 통제선이다. 따라서 민통선 설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남북 경계선과 경계지역 이해의 핵심이다.이 글은 민통선이라는 경계선 자체에 대한 규명을 시도하며, 경계선의 변화 즉 생성 및 이동에 따른 민북지역의 변화를 살피고자 한다.


The article notes the ‘civilian control line’ as a link of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nter-Korean border area. The strategic village was crea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and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buil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Retaken Area. The civilian control line is another dividing line, and it is a practical control line that separ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rder area. Therefor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is key to understanding the inter-Korean border and the border area. This article tries to find out about the boundary itself, which is the Civilian Control Line, and looks at the changes in the border line, namely the change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CCL a due to the creation and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