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형태소인식능력은 텍스트에서 접하는 새로운 어휘의 의미에 접근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단어를 사용하게 하는 메타언어능력으로 언어, 읽기 및 쓰기 습득과정에 주요한 기술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을 어휘발달 수준과 관련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하교 3학년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 14명, 이 아동과 생활연령 및 어휘수준을 일치시킨 아동 각 14명으로 총 42명의 아동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단어의 유형(합성어, 파생어)과 투명도를 고려하여 개발된 형태소인식능력 과제를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형태소인식능력의 총점은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휘발달지체 위험군과 어휘수준을 일치시킨 아동 집단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어휘수준이 다른 집단들 사이에서는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 집단 모두 파생어에 대한 과제 수행력이 낮았다. 합성어 과제에서는 어휘수준일치집단과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파생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투명도에 따른 집단 간 차이와 투명도 여부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가지 과제 모두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과 어휘수준일치 아동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생활연령일치 아동과 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 어휘발달 수준과 형태소인식능력 사이의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령 초기 어휘평가 및 중재에서 형태소인식능력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주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awareness of school-age children in relation to the level of vocabulary develop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 children in the at risk group of vocabulary development delay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4 children who matched these children in chronological age and vocabulary level. A total of 42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u used the task of morphological awarenes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considering the type of words (cmpound and derivative) and transparency.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morphological awar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t-risk group and the children’s group who were matched at the vocabulary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different vocabulary levels. Second, all three groups had low ability to perform tasks on derivativ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ocabulary level matching group and the children in the vocabulary development delay group in the compound language task,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rivative task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transparenc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ge-matched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was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risk group and the vocabulary level match group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is result wa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morphological awareness in early vocabular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