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문화유산을 활용한 콘텐츠의 생산은 교육적 목적의 의미론과 가치론을 넘어 일상의 생활세계에서 누구나 쉽게 접하고,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로 다양하게 확대,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것은 문화유산이 가지는 오랜 역사의 시간성과 장소성에 담겨 있는 다양한 가치의 의미들이 그 무엇보다 다양한 형태로 의미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한국에는 다양한 의미의 역사와 가치들을 배경으로 하는 사찰이 많다. 하지만 사찰은 종교적인 측면의 목적과 의미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맥락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찰이 가지는 역사적 시간과 장소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고찰로, 사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ultural heritage” promotes understanding by imagining life, art, and thought in its own place and time of history. In modern society, cultural heritage must be actively accepted, and beyond the scope of “discovery” and “preservation” in daily life, it must be actively utilized. There are many traditional temples with a long history of more than 1,000 years in Korea. This traditional temple is a result of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of Korean culture such as historical background, temple structure, building layout, Buddhist statues, Buddhist paintings and pagoda, and is an artistic expression. Therefore,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hat can gain empirical valu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esthetics of traditional temples, we will seek a new direction to accept Korean Buddhist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