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초기불교 수행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원인 및 제거과정을 토대로 현대인의 불안장애 제거를 위한 명상적 접근을 다룬다.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응용한 마음챙김 명상법이 현재 불안치유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음챙김의 심리치료적 적용이 제한적인 사례도 확인된다. 이러한 설명은 불안에 대한 불교적 이해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을 보완하는 치유 기제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기경전의 오장애(五障礙)와 오상분결(五上分結)의 공통요소로 나타나는 우땃짜(uddhacca, 불안, 들뜸, 흥분)를 중심으로 불안의 의미를 살핀다. 동시에 붓다가 제안하는 불안의 극복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초기불교는 불안을 다스리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띠를 직접 적용하지 않는다. 붓다는 개인의 불안에 따라 올바르게 주의 기울이고, 과도한 의욕을 줄이는 것에서 시작할 것을 권유한다. 더 나아가 노력과 나태 사이에 균형을 찾으며, 고요함과 평온을 유지할 것을 제안한다. 오늘날의 마음챙김은 그 의미가 확대되어 명상과 심리치료 전반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마음챙김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그 근원적 가르침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auses and elimination processes of anxiety in psychotherapy and Early Buddhist practice. The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applied th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is currently used mainly to cure anxiety. However, cases in which psychological treatment of mindfulness is limited are also confirmed. These studies indicate that Early Buddhist understanding of anxiety as well as supplementation of mindfulness healing methods are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of anxiety centered on the uddhacca(anxiety), which is a common element of the Five hindrances and the Higher fetters (uddhambhāgiya-samyojana) in the Pāli-Nikāya. At the same time, discuss how to overcome the anxiety proposed by the Buddha. Early Buddhism does not apply sati directly with constant effort to control anxiety. The Buddha advises to start with wise attention(yoniso manasikara)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anxiety and reduce excessive motivation.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o find a balance between effort and sloth, and to remain calm and equanimity. Mindfulness today is broadened in meaning and is used as a term to replace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in general. For the proper use of mindfulness, it is necessary to learn about the fundamental teachings of the Budd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