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호구총수』(1789)의 ‘나주’에 기록된 33개 도(島)의 마을 지명 위치를 파악하고, 마을 지명의 특징과 표기법을 살피고자 하였다. 33개 도에 기록된 지명은 현재 행정구역상 신안군 지역 소속이 대부분이다. 목포시 소속 지명이 일부 있는데, 과거 신안군 압해면에 속했던 달리도(4개 마을), 눌도, 고하도뿐이다. 전체 지명 162개 중 미확인 지명이 28개이므로 실제 고찰 대상 지명 수는 134개이다. 이들 지명의 연구는『한국지명총람14』,『조선지지자료』(1911)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지명의 후부요소에는 여타 지역에 비해 ‘村’이 많이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주로 해안에 인접한 지역이 많은 특성상 ‘-곶, -고지’와 ‘-기미, -구미’의 지명이 많았다. 또한 4음절 지명도 많았는데, 이는 고유어 지명을 반영한 표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도청(都廳)’의 지명이 16개 섬 중 6개 섬에서 각각 나타나는데, 이 지명은 어느 시점에 모두 사라져 현재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지명 표기는 음차표기, 훈차표기, 혼합표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음차표기의 방법으로 표기된 지명이 134개 지명 중 절반이 넘는 71개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village names in 33 provinces in Naju recorded in 『Hoguchongsu』(1789)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and phonetic notations. Most of the place names recorded in 33 provinces belonged to Shinan-Gun as one of the present administrative districts. Three of them, Dalido(4 villages), Nuldo and Gohado belonged to Mokpo though they had belonged to Aphaemyon, Shinangun in the past. Of the whole place names 162, 28 were unidentified and 134 had to be examined.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Comprehensive Report of Korea Place Names 14』,『Joseon Topography』(1911).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 word of 'Chon' meaning village more frequently appeared in the postfix than any other province As most of them were adjacent to the coast, ‘-Got,-Goji’ and ‘-Gimi, -Gumi’ appeared in place names. Also, 4-syllable names frequently appeared as the phonetic notations reflected the place names of native words. The place name of ‘provincial office(都廳)’ appeared in 6 of 16 islands. It was noticeable that it all disappeared at some point and was not found at all in the present. The place nam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for analyses: Eumcha notation(borrowing Chinese sounds), Huncha notation(borrowing Chinese meaning) and Honhap notation(using both sounds and meanings). 71 of the 134 place names were under the Eumcha no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