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및 대구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5곳의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4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용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중학생의 공격성,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각 하위요인인 자기비난,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각각 타인비난, 파국화를 부분매개로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tudy participants were 424 students enrolled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Daegu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he sub-factor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i.e., self-blame, other-blame,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and aggression. Also, the sub-factor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i.e., self-blame, other-blame,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Second, the sub-factor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i.e., other-blame and catastrophizing)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dd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