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른바 ‘레임덕 국회’ 하에서의 국회의원 행태를 분석한다. 국회의 레임덕 회기가만들어낸 의원의 차별적 입법 유인에 주목하고, 이를 본회의 표결에의 참여와 쟁점법안에 대한 본회의 투표의 두 차원에서 검증한다. 레임덕 국회는 선거가 끝나고 떠날 의원과 남을 의원이 구분된 상태에서 잔여 업무의 처리를 위해 열리는 임시회기 정도로 인식되어왔다. 일반의 평가와는 달리, 레임덕 국회는 우리 국회에서도 점차 상설화되고 있고, 더 많은 법안이 처리되고 있다. 쟁점법안의 처리도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레임덕 국회의 상황에서 떠나는 의원과 남는 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참여의 유인과 쟁점법안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행태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행태의 차이가 두 의원 군의 차별적 선거유인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재선에의 성공이 차별적 선거유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의원의 의원경력 지속에 대한 내적인 욕구가 참여와 법안표결의 차이에 영향을 준다.


We analyze legislators’ voting behaviors in the floor during the lame-duck session of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We focus on differentiated incentive structures for departing legislators and staying legislators and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those incentive difference upon legislators’ voting participation decisions as well as voting decisions. Lame-duck session has been commonly recognized as a temporary session held to deal with the rest of the affairs, with the departing legislators and those remaining. Contrary to public perceptions, the lame duck sess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permanent over years, and more legislation is being addressed. The handling of key legislations is also increasing. We find that the difference in behavior was clearly seen in terms of the incentives for the left and the remaining members of the assemblymen in voting participation and in voting decisions toward the issue bills. We argue that the success of reelection does not create discriminatory election incentives, but that the internal desire for the senator’s continuation of the parliamentary career makes a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and legislative vote. It was verified through statistical testing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