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배경: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근무하는 여성과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각각 감정노동 수준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을규명함으로써 감정노동 근로자인 콜센터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행위 실천을 향상시키는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2014년 10월에 조사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 K 콜센터에 근무하는근로자 709명(여성 470명, 남성 239명)이었다. 감정노동은감정노동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II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남녀를 구분하여 각각 공변량을 보정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감정노동 수준은 전체 3.5점이었고, 여성 근로자(3.6점) 가 남성 근로자(3.5점)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전체 2.0점이었고, 여성과 남성근로자 모두 2.0점으로 차이가 없었다.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에서는 여성과 남성 근로자 모두 감정노동 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가 낮은 것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하지만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간의 관련성에서 여성 근로자는 영적성장,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 남성 근로자는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감정노동은 건강증진행위에 성별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므로 감정노동 근로자의 건강행위 실천을 향상시키는 중재를 계획시 성별에 따른 특성을 함께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both women and men at call center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among 709 workers (470 women and 239 men) at K call center workplace in Seoul, South Korea. Emotional labor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HPLP-II). Results: Of all the call center workers, the average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3.5 out of 5.0. Women had a higher average emotional labor score (3.6 points) than men (3.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2.0 out of 4.0 in the overall workers and each group of women and men workers, respectively.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each group of women and men. Among women workers,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growth and stress management subscales of the HPLP-II, while among men workers, i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all HPLP-II subscales. Conclusions: Emotional labor may be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ts associations with the subscal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may differ by gender. Therefore, nursing strategies for reduc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concerned in the context of gender-specific associations with emotional 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