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배수아의 단편들에 나타난 비선형적 시간성을 레비나스의 시간 및 타자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문학에 재현된 시간과 타자의 연관관계 및 윤리적 고민을 탐구하고자 한다. 시간에 대한 인간의 관점은 삶을 인지하고 통제하기 위한 가장 실존적인 패러다임 중 하나이다. 문학에 재현된 시간성은 인간의 삶과 시간의 관계 그리고그것을 바라보는 인문학적인 방향성을 반영한다. 문학의 ‘비선형적 시간’은 특히 억압되거나 중심에서 밀려났던 과거의 의미를 새롭게 찾음으로써 근대적 가치관에 의해 배제된 타자 및 죽음의 개념을 조명하고자 했다. 레비나스의 윤리적 관점에서, 배수아의 소설에 나타난 비선형적 시간성은 시간 자체가 타자의 존재를 통해서만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배수아의 소설의 시간성은 ‘일어남/아직 일어나지 않음’이라는 객관적인 측량이 아닌주체가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하는 ‘과거화/미래화’를 통해 인지된다. ‘과거화’는 전통적인 선형적 시간관을 바탕으로 진술되는 사건의 의미를 ‘완료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주체의 시각으로 그 타자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반대로 ‘미래화’는 시간 경험의 의미를 미지의 상태로 놓아둠으로써 타자의 가능성에 주체를 개방한다. 이 ‘미지의 상태’로서의 미래는 또한 죽음으로 정의된다. 때문에 타자-시간-미래-죽음에 대한 사유는 타자를 위한 애도라는 윤리적 목적을 가진다. 비선형적 시간성은 타자의 진실을 지우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대면하고자 하는, 애도의 불가능성에 대한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non-linear temporality that appears in Bae Su-a’s short novels, focusing on Levinas's theory of time and the other. This seeks to explore the connection of time and the other as well as its ethical concerns represented in literature. The human perspective on time is one of the most existing paradigms for recognizing and controlling life. It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life and time and its humanistic direction that the temporality represented in literature. Literature's “non-linear time” especially sought to illuminate the concept of the other and death rerejected by modern values by finding new meanings of the past that were suppressed or pushed out of the center. From Levinas' ethical point of view, the non-linear temporality in the novel of Bae Su-ah shows that time itself can only occur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other. The temporality of Bae Su-ah's novels is perceived through the “pastifying / futurifying” that fomed by the relationship of subject and the other, rather than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happend / not yet happened”. 'Pastifying' is to remove the otherness of the event by fixing the meaning of it based on the traditional linear time view to 'completed state'. Conversely, 'futurifying' opens the subject to the possibility of others by leaving the meaning of time experience unknown. The future as this 'unknown state' is also defined as death. Therefore, the cogitation for the other-time-future-death has an ethical purpose of mourning for the other. Non-linear temporality can be said to be an experiment on the impossibility of mourning, trying to face it without erasing the truth of the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