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동 불안정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지만, 이것이 특정 시기에 이례적으로 나타난 현상인지, 아니면 노동의 불안정이 시대적 위험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는 Ulrich Beck이제기한 ‘위험사회’와 ‘위험의 개인화’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중⋅장년층 남성의 노동 불안정성이 보편화 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1939∼1948년에 출생한 산업화 세대(코호트 1)와1949∼1958년에 출생한 베이비부머 세대(코호트 2)의 노동생애 불안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호트 2는 산업화와 경제성장의 효과에 힘입어 코호트 1에 비해 안정적인 중⋅장년기 노동생애를 향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노동생애 불안정에 미치는 학력의 영향력이 최근 세대에 보다 강화된 것으로 나타나, 종합적으로 중⋅장년기 노동생애 불안정이 보편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세계화 이후 노동시장을 경험한 현 중장년층의 경우 산업화 및 베이비부머 세대와 상이한 불안정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험의 보편화 가설을 보다 정밀히 검증하기 위해 자료의 축적에 따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정년연장과 같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노동생애를 유지해 온 상용직 대상의 정책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노동 상태를 장기간 지속하고 있는 저학력 집단에 대한 맞춤형 정책이필요함을 제기하였다.


The issue of labor or job instability experienced in middle age has been raised continuously since the late 1990’s when the financial crisis occurred in Korea. However, it has not been explored enough whether it is an unusual phenomenon that happened at that time to a certain group of people, or as many people think, labor instability has transformed into a common danger in this modern world. Based on the ‘Risk Society’ and ‘Individualization of risk’, presented by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isk of ‘working life instability’ experienced by middle-aged men is becoming universalized in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Cohort 2 (1949∼1958) is more likely to enjoy stable working life trajectories in middle age than Cohort 1.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hort 1 (1939∼1948) experienced destabilization earlier and at a faster rate overall.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the (in)stability was also strengthened in Cohort 2, confirming that the working life instability in middle age got more stratified than universalized in Korea. These findings suggest to implement appropriate policies for low-educated groups who have had unstable working life for a long time.